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it
- Project File List
- Swfit
- 'AudioSessionSetActive' is deprecated: first deprecated in iOS 7.0 - no longer supported
- Cannot install under Rosetta 2 in ARM default prefix (/opt/homebrew)!
- Swift
- objectiveC
- Xcode
- swift하고싶다.
- 의존성
- 영어읽어라
- duplicate symbols for architecture arm 64
- swift하고싶다
- Unable to install
- 'IPHONEOS_DEPLOYMENT_TARGET' is set to 10.0
- 'openURL:' is deprecated: first deprecated in iOS 10.0
- FIRApp configure
- 코드설게
- 버전분기
- objectiv-C
- error
- 프로젝트기본설명
- arch -arm64 brew install
- iOS개발
- Deploument Info
- HomeBrew #MAC
- 설명
- The image set has an unassigned child.
- ios
- The iOS deployment target
- Today
- Total
행복한 세상의 니노
Objective-C 란? 정리 본문
1. 1980년대 초에 Objective-C를 브래드 콕스(Brad j. Cox)가 설계하였다.
이 언어는 SmallTalk-80라는 언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Objective-C는 언어 위에 올려져 있는 "계층적(layered) 구조"다.
즉 C언어를 확장하여 "객체"를 생성하고 다룰 수 있는 언어인 것이다.
2. Objective-C가 C언어라 해도 틀렸다고 말 할 수 없다.
(확장된 개념이기 떄문에.)
3. Objective-C는 Obj-C로 줄여서 사용하기도 한다.
4. Objective-C는 1984년에 발표되어 1988년, 넥스트는 스텝 스톤에게 오브젝티브-C 사용 허가를 받고, 오브젝티브-C를 지원하기 위하여 컴파일러를 확장한다. 이후 넥스트 스텝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 빌더를 구축하는데 쓰일 앱 키트(AppKit)와 파운데이션 키트(Foundation Kit)를 개발한다.
(여기서의 Appkit은 ios개발의 시초이다.)
5. Obj-C는 1980경 부터 25년간 동안 사용됬고, 현재는 apple이 Swift언어를 내놓으며 지원중단을 하였다.
6. Obj-C의 확장자는 아래와같다.
확장자 | 의미 |
.c | C언어 소스 파일 |
.cc .cpp | C++언어 소스파일 |
.h | 헤더파일 |
.m | Objective-C 소스파일 |
.mm | Objective-C++소스 파일 |
.pl | Perl소스 파일 |
.o | (컴파일된)오브젝트 파일 |
7. Xcode에서 코드를 실수하게되면
느낌표가 있는 빨간 정지 신호의 오류표시 -> 치명적인 오류(fatal errors)라고 불리며 고치기 전에는 실행 할 수가 없다.
경고(Warning)은 느낌표가 있는 노란 삼각형을 으로 표시된다. -> 오류가 있어도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8. Xcode는 스태틱 애널라이저라고 알려진 강력한 도구를 내장하고있다.
이 도구는코드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논리 오류를 찾아낼 수 있다.
9. Objective-C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10. Objective-C는 터미널에서 디버깅 할 수 있다.
11. 주석은 (//)와 (/* */)를 사용한다.
[주석문을 추가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은 이유 세가지]
1) 머릿속에 특정 프로그램의 로직이 분명할 때 문서화하는 것이 프로그램을 완성한 후에 문서화 하는 것보다 쉽다.
2) 이른 시기에 주석문을 달면, 프로그램 로직 오류를 따로 떼어 고치는 디버그 단계에서 주석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3) 문서화를 할때 도움이 된다.
12. #import는 이 파일에 있는 정보를 마치 프로그램의 그 위치에 그대로 입력된 것처럼 가져오거나 포함시키라는 의미다.
13. 모든 프로그램의 명령문은 ;(세미클론)으로 끝내야한다.
14. C언어와 동일하게 retrun을 통해 종료를 의미한다.
15. 여러줄로 나눌떄는 '\n' 새줄 문자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