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웹사이트 개발 및 서비스 절차Web개발 2019. 3. 21. 10:59
[ 웹 사이트 개발 준비하기 ] 참고 블로그 : 믹스코드랩
ICT : 정보통신 기술
ERP : 전사자원관리시스템
CRM : 고객관계관리시스템
SI : 시스템 통합
[무슨 말인지 알기 ]
여러분이 매일 사용하고 계시는 스마트폰앱!
많은 앱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또한 Open API란 웹개발기술로 개발되어 데이터가 제공되어지고있습니다.
데이터 처리뿐만 아니라 앱 화면 개발도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네이티브앱 개발방식이 있는반면에 앱의 껍데기만 네이티브기술로 개발하고 HTML과 하이브리드앱 프레임워크(폰갭(코도바))를 통해 개발이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앱 개발방식도 요즘은 유지보수.배포의 편리성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개발을 위한 전반적인 과정 ]
우리나라 정보통신(ICT :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서비스 분야는 크게 3가지의 종류의 서비스 시장으로 나위어져 있습니다.
1. 웹 에이전시 서비스 분야( WEB Agency)
- 디자인 및 홈페이지, 앱개발 중심의 웹사이트 개발 및 서비스 시장
2. 시스템 통합 서비스 분야(SI = System Integration)
- 데이터 및 비지니스와 개발인력 줌심의 각종 시스템 개발 및 서비스 시장(공공, 기업, 의료, 금융 .... 등등 )
3. 솔루션 서비스 분야(Solution)
- 특정 비지니스 중심의 특화된 솔루션 개발 및 서비스분야
// 디자인 / 개발 / 솔루션별로 나눠져있다는 말같음
[ 1. 웹 에이전시 서비스 분야 와 SI 분야 웹 시스템 개발절차 ]
웹사이트기획단계 > 디자인단계 > 퍼블리싱단계> 개발단계 > 서비스 배포단계
결과 : 하나의 웹 사이트 개발 및 서비스됨
: UX중심의 웹페이지와 소규모 데이터 처리 디자인 중심의 홈페이지(기업/개인) 정도를 개발할 때 사용하는 절차
(ex : 기업용시스템 (ERP,CRM,쇼핑몰)등을 개발할때 용어와 절차가 다름 )
UI(User Interface) : 사용자와 마주하다
= 앱을 사용할 때 마주하는 디자인, 레이아웃, 기술적인부분
- 디자인 부분 : 폰트, 칼라, 줄간격 등 상세한 요소
- 기술적인 부분: 반응성, 입출력단계, 애니매이션효과
:: UI는 다양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보편성을 지녀야 하며 전체적으로 사용에 있어 큰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좋은 UI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높은 만족도를 가져야하며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주관적인 불만족을 최소화 시켜야한다,
UX(User Experience) : 사용자의 경험을 녹이다.
= UX는 UI에서 파생됨
- 기존의 앱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경험앱을 실행하고 진행되는 다양한 경험( 카카오톡, 메신저 )들을 분석하여 그것을 더 편하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결과
::기존에 비슷한 기능을 사용했던 사람들의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통계자료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황과 시점에 맞게 효과적인 방안을 찾아내는것. (룰은 없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방안을 찾아내느 것이 효과적이다.)
즉!! UI와 UX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고.
UX (기존에 쉽게 접근했던 앱들을 분적하여 만들 앱을 비슷한 방향으로 만들고 )
UI (내용물에 맞춰 디자인도 변화해야한다.)
// UI - UX 는 서로 터치하나의 방응에도 명분과 이유가 있어야 할 정도로 긴밀하게 연결되어있어야함.
[ 2. SI(시스템통합) 분야 웹 시스템 개발절차 ]
요구사항정의단계 > 분석단계 > 설계단계 > 개발단계 > 서비스배포단계
이유: 기업/공공시장에서 필요로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정보관리시스템을 웹 기발 또는 다양한 종류의 기술 환경을 적용해 개발 or 서비스
[ 3. 솔루션 분야 ]
분야: 안랩, 이스트소프트(알툴즈), 넥슨, 쿠팡, 티몬, 네이버, 다음 등등
[ 개발단계에 대한 설명 ]
웹사이트기획단계 > 디자인단계 > 퍼블리싱단계> 개발단계 > 서비스 배포단계
1. 기획단계 : 요구사항 분석 및 구성내용 분류 및 설계
- 고객사 또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리하여 화면, 메뉴, 컨텐츠 기획단계
- 기획 단계에서 사이트의 구성 및 내용을 정함
- 모든 기능과 절차, 방식을 PM(프로젝트 매니저)가 역활을 수행
[ 담당자 : 기획자 ]
2. 디자인단계 : 사용자의 눈에 어떻게 보일것인지 디자인하는 단계
- 기획단계에서 만든 기획서를 바탕으로 화면설계서를 기본으로 디자이너의 색체 이미지 감각을 이용 그래픽디자인을 합니다.
- 일반적으로 몇개의 디자인시안을 준비하는 프로토타이핑과정을 걸쳐 고객 또는 내부에서 확인
[ 담당자 : 웹디자이너 , 그래픽디자이너 ]
3,퍼블리싱단계 : 코드(HTML/CSS로) 디자인 틀을 잡는 단계 / 정적 컨텐츠로 틀 잡기
- 디자인단계에서 만들어진 그래픽을 이용 웹사이트에서 서비스할 웹 페이지를 기초 코드( HTML, CSS)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 이미지 그래픽이 실제 코드(HTML & CSS)로 변환되는 첫번째 단계이자 코딩(코드를 만드는일)이 시작되는 첫단계입니다.
- 주요 디바이스의 해상도 및 반응형웹(Responsive Web)기술을 적용하여 코딩
- 퍼블리싱 단계에서 만들어진 코드는 대부분 정적 컨텐츠를 보여주기 위한 코드임.
( 정적 컨텐츠란 컨텐츠를 실제 표현하는 코드들이 처음 작업한 이후 변경이 없거나 변경이 적은 웹페이지 또는 컨텐츠)
[ 담당자 : 퍼블리셔 ]
4.개발단계 : 동적, 정적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서버와 Database에 맞게 재 정리 및 기술적용시키는 단계
- 퍼블리싱 단계에서 만들어진 단계에서 만들어진 정적 컨텐츠와 동적 컨텐츠 코드(HTML&CSS)를 실제 개발서비스할 기술환경(ASP.net MVC, JSP, PHP, 등)에 맞게 (HTML & CSS)를 재 구성하고 페이지의 공통영역에 대한 코드의 재사용을 위한 인클루드 기술적용, 동적 컨텐츠 제공을 위한 웹프로그래밍 작업, 데이터 기반에 database 설계 및 DB 프로그래밍 작업을 하는것.
[ 담당자 : 웹(서버)개발자, 프론트엔드개발자 ]
5. 서비스(배포) : 결과물 배포과정
- 개발완료 후 테스트 과정을 거친후 이상이 없으면 실제 서비스 환경인 서버에 결과물을 배포하는 작업
[ 담당자 : 시스템 엔지니어, 서버관리자, DB관리자(DBA) :: 주로 개발자가 진행 ]
개발이전 준비사항 : 도메인
개발이후 준비사항 : 24시간 서비스가 가능한 서버컴퓨터
서비스환경(웹호스팅, 서버호스팅, 클라우드, 자체서버컴퓨터 ) 준비
사용자 맟품형 서비스( 메일서비스 : 암호찾기/ 안내메일 / 각종메일을 사용자에게 보내는 메일링 서비스 )
서비스환경
(역활 및 정의 적기)
1. 웹호스팅이란?
2.서버호스팅이란?
3. 클라우드란?
4. 자체서버컴퓨터란?
'Web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인터넷과 웹구성3요소 (0) 2019.03.21 1.2 도메인과 DNS (0) 2019.03.21